청년도약계좌 : 2023년 올 한해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해 여러 지원금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최대 5,000만 원의 지원금을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받을 수 있는데, 한마디로 적금만 꼬박꼬박 잘하면 됩니다. 만 19세~ 34세의 청년들을 위해 포스팅을 준비했으니, 집중해주시고, 서둘러 신청하세요.
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혜택, 자격
-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
-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받는 혜택
-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
- 심사 기준
1.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
청년도약계좌는 취급하는 은행에서 가입 및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. 이는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가입시 심사가 진행되며 이 심사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 심사를 신청하실 때는 나이와 개인의 소득을 확인하고, 정보제공 동의 및 가구원 확정, 가구소득 확인 이렇게 3단계로 심사 진행됩니다. 신청 후 약 2~3주 후에 확인 결과를 통보받으실 수 있습니다.
2.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받는 혜택
- 본인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서 소득 구간별로 정부의 기여금을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.
- 만약 저소득층 청년이라면 일정 수준의 우대 금리를 적용 받게 됩니다.
-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에는 본인이 납입한 금액과 정부의 기여금에 대한 이자 및 그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3.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
- 나이 : 만 19~34세(병역 이행 시 :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포함 됨)
-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. 만기 5년
- 개인소득 기준은 7,500만 원 이하,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- 개인소득 기준 7,500만 원 이하(단, 6천만 원 이하만 정부기여금과 비과세가 적용되며, 6천~7천 5백만 원은 비과세만 적용)
4. 심사 기준
- 2023년 6월 15일부터 가입 신청 및 비대면 심사,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
- 1년 주기로 개인 소득을 심사하여 기여금 지급 규모를 조정하며, 예기치 못한 불이익 방지를 위해 가구소득 변동을 반영하지 않음.
- 개인, 가구 소득은 2022년 소득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2021년 소득 기준으로 가입 여부를 판단함.